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67건)

포로수용소 탈출작전
포로수용소하면 먼저 거제도를 떠올립니다. 대명사처럼 거제도가 언급되지만 사실 광주에도 포로수용소가 있었다는 사실을 아는 시민도 많지 않습니다. 6.25한국전쟁 중에는 광주에 포로수용소를 두 군데 두었지요. 동구 학동의 전남대병원 뒤편에 있었던 중앙포로수용소와 상무대 일원에 있었던 상무대포로수용소가 그곳입
서구문화센터
서구 마재로 3(금호동)서구문화센터는 21세기 문화의 세기를 맞이하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적기금으로 건립한 공공 문화기반시설로 서구주민의 풍요로운 삶을 위한 계층별 문화예술교육과 지역사회의 문화복지 증진을 목표로 운영하고 있다. 아파트 밀집지역에 위치한 관계로 개관초기부터 개설되는 프로그램마다 주민
빛고을국악전수관
광주시 서구 풍금로 182(금호동)빛고을국악전수관은 국악의 메카이자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에서 국악의 여러 장르를 전문적으로 가르치고 배우게 하는 전수공간이다.우리의 일상에서 늘 불리어져오다 언젠가부터 일상과 격리되어온 국악을 서구 빛고을국악전수관은 쉽게 접하게 하는 국악의 최전선이라 할만하다. 언제라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
서구 회재로 905 (금호동)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는 점차 미디어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일반시민들에게 미디어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미디어교육시설. 현대에 미디어의 이용은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시청자는 단순히 미디어를 수용하는 소비자의 입장에 머무르지 않고 미디어의 기술을 이용해 생산과 소비를 담당하는 생비
서구공공도서관
서구 마재로 3(금호동)광주 서구문화센터 내에 있는 서구공공도서관은 총 53,733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역주민 누구나 책으로 넓은 세상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서구공공도서관은 문화로 일상의 삶이 달라지도록 모든 계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 문
벽진나루
『세종실록』에는 광주의 나루터로 북구 용두동의 거진巨津과 함께 서구의 벽진碧津을 이야기한다. 벽진나루가 『세종실록』151권 지리지 편에 광주 옛 무진군을 설명하는 내용 중에 무등산은 진산이며 벽진도와 거진도가 있다고 했다.군의 서쪽에 있는 벽진나루는 영산강을 기준으로 그 동쪽에 위치한 광주 관아와 그 서쪽
현재 서구의 다리
다리가 놓여 지기 위해서는 천川이나 강을 건너는 길이 있어야 한다. 서구에는 영산강과 광주천, 서창천이 있고, 전평호수에서 발원하여 서창천과 합류하는 내도 있다. 따라서 영산강과 광주천, 서창천을 건너는 길에는 크고 작은 많은 다리가 놓여 있다. 다리는 새로운 길이 나면서 놓여 지기도 하지만, 하천이 복개되거나
중앙공원
서구 금호동 풍암동 화정동 일대광주 중앙공원은 광주 최대의 도시공원으로 광주의 허파라고 불를 정도이다. 지난 1975년 광주시 제19호 공원으로 지정된 중앙공원은 2001년 서구 풍암동, 금호동, 화정동, 쌍촌동, 주월동 일원의 89만평이 공원 부지로 확정됐다. 지리적으로는 월드컵경기장과 풍암호수 주변을 감싸고 있는
만호제
서구 금호동 676만호제는 1943년에 축조됐고 수혜면적은 14ha이며 저수량은 40천㎡이다.
금호제
서구 금호동 676서광주역앞 사거리에서 상무역으로 가는 방향으로 중간쯤 왼쪽에 있다.
운천호수(서호)
서구 운천로 165(쌍촌동) 일원운천호수의 역사는 일제강점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제강점기 초기 상무대와 민력동 일대의 논에 물을 대는 역할을 했다. 상무대와 민력동 일대에 있는 수답水畓으로 물을 끌어대는 관개용 저수지로 이해하면 된다. 그리고 이 방죽 위 금호동으로 가는 길 우측 깊숙한 산골짜기에 작은 규
마재
서구 세하동 ‘마재’하면 금호동과 풍암동 경계에 있는 곳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공간으로는 시청자미디어센터와 119풍암안전센터가 자리한 곳 일대를 마재마을이라고 부른다. 마재마을은 광주시 서구 서창동 관할 세하동과 매월동 경계에 있는 백마산의 말발굽자리에 소재하고 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광주광
소매봉
서구 금호동중앙공원이라는 이름만 알고 있다. 야트막한 산 어디에도 원래 명칭은 표기돼 있지 않아 찾을 수가 없다. 모두 중앙공원이라는 명패만 부착돼 옛날부터 쓰였거나 중앙공원이라 부르기 전 이름을 알 수는 없었다. 서구 풍암동과 금호동, 남구 주월동 일대 넓게 퍼져있는 중앙공원에는 몇몇 정자가 있다. 쌍봉정과
백석산
서구 금호동과 마륵동 경계서구에는 백白자로 시작하는 산이 많다. 백마산이 있고, 백일지구라고 해서 붙여진 백일산이 있다. 그리고 백석산까지 있으니 서구는 유난히 ‘백’자와 인연이 깊은 곳이라 할 수 있다. 백석산은 금호동과 마륵동의 경계에 자리한 산으로 해발 79.8m로 채 100m가 안 되는 야트막한 구릉이다. 이처럼
광산이씨 효열비각
서구 금호동 702-37 인근광산이씨효열정려는 음성박씨 박성립朴性立의 처 광산이씨의 효열을 기리는 정려였다. 음성박씨정승공파백암문회에서 관리했다. 광산이씨의 아버지는 이중근, 조부는 이경욱, 증조는 이언식으로 대제학을 지냈으며 외조부는 조계원이다. 광산이씨는 1795년에 출생하여 박성립과 성혼하였으나 출가한
제하상(새우젓장수) 모자비
서구 금호운천길 31 (금호동)제하상모자비祭鰕商母子碑는 병천사 앞에 있다. 병천사秉天祠 삼문 앞 앞뜰에는 붕남 지응현의 공덕을 기리는 공덕비, 기적비 등 14기가 있다. 이 가운데 유심히 눈여겨보면 재미있는 비석이 하나 있다. 앞뜰 남쪽 맨 끝에 새우젓장사 모자를 기리는 제하상모자비이다. 장방형의 좌대 가운데 홈
운리사(벽진서원) 묘정비
광주시 서구 송풍로 42(풍암동)운리영당이 훼철되고 운리사가 세워지자 운리사 묘정비廟庭碑를 쓴 박석무 전 한국고전번역원 원장(다산연구소 이사장)은 “학향이자 의향인 광주의 상징적 인물이던 선생은 살아계시던 당시에 옥玉 같은 마음과 옥 같은 용모, 이름까지 옥이어서 삼옥三玉이라고 불렸다”고 쓰고 있다. ‘옥 같
농선대시주비
광주시 서구 눌재로 258 서창치안센터 맞은편1769년농선대시주비農船大施主碑는 영산강과 황룡강이 어우러지는 서창교 일대에 1769년 강姜 아무개와 조曹 아무개가 농선을 기부해 주민들이 쉽게 강을 건널 수 있도록 한 데 따른 칭송비로 알려져 있다. 서창동 서창치안센터 맞은편에 있다. 김희태는 이를 농선부시주비農船
병천사
서구 금호운천길 31(금호동) 병천사秉天祠는 지방 세력가로 알려진 지응현池應鉉(1868∼1957)이 일제강점기에 지은 사당으로 충주 지씨들의 사우이다. 고려 말의 충신인 정몽주(1337∼1392)를 비롯해 전라도도원수를 지냈던 지용기(1330∼1392), 고려 명장 정지의 9대손인 정충신(1576∼1636), 서흥부사를 지냈던 지계최(?∼1636)
병천사 존심당/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호(1979. 8. 3.)
서구 금호운천길 31(금호동) 병천사秉天祠는 지방 세력가로 알려진 지응현池應鉉(1868∼1957)이 일제강점기에 지은 사당으로 충주 지씨들의 사우이다. 고려 말의 충신인 정몽주(1337∼1392)를 비롯해 전라도도원수를 지냈던 지용기(1330∼1392), 고려 명장 정지의 9대손인 정충신(1576∼1636), 서흥부사를 지냈던 지계최(?∼1636)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